블로그 이미지
조이키트 블로그
아두이노, 라즈베리파이, 반도체 센서/모듈 활용

calendar

1 2 3 4 5
6 7 8 9 10 11 12
13 14 15 16 17 18 19
20 21 22 23 24 25 26
27 28 29 30

Notice

250x250
2023. 10. 16. 19:27 C언어 기초
728x90
반응형

연산자는 변수에 저장된 값을 1 증가 및 감소시키는 경우에 사용되는 연산자이다. 

 

1. 증가 연산자

#include<stdio.h>
int main(void)
{
	int num1 = 12;
	int num2 = 12;

	printf("num1: %d \n", num1);
	printf("num1++: %d \n", num1++);  // 후위 증가
	printf("num1: %d \n", num1);

	printf("num2: %d \n", num2);
	printf("++num2: %d \n", ++num2);  // 전위 증가
	printf("num2: %d \n", num2);
	return 0;
}

++num : 값을 1 증가 후, 속한 문장의 나머지를 진행한다. (선 증가, 후 연산)

num++ : 속한 문장을 먼저 진행한 후 값을 1 증가한다. (선 연산, 후 증가)

--num : 값을 1감소 후, 속한 문장의 나머지를 진행한다. (선 감소, 후 연산)

num-- : 속한 문장을 먼저 진행한 후, 값을 1 감소한다. (선 연산, 후 감소)

 

++ 연산자와 -- 연산자는 이름 그대로 값을 1 증가 및 감소시키는 연산자이다. 그런데 이 두 연산자는 삽입된 위치에 따라서 그 의미가 달라진다. 피연산자의 왼편에 붙는 경우에는 먼저 변수에 저장된 값을 증가 및 감소시키고 나서 문장의 나머지 부분을 실행하게 된다. 반면 피연산자의 오른쪽에 붙는 경우에는 문장 전체를 실행한 다음에 값을 증가 및 감소시키게 된다. 

 

출력결과

 

2. 감소 연산자

#include<stdio.h>
int main(void)
{
	int num1 = 10;
	int num2 = (num1--)+2;

	printf("num1: %d \n", num1);
	printf("num2: %d \n", num2);  // 후위 증가
	return 0;
}

출력결과

6행에서는 변수 num1에 대해서 선 연산 후 감소를 진행하고 있다. 그런데 이 연산의 앞과 뒤에 소괄호가 채워져 있다. C언어세는 소괄호도 연산자이다. 이는 수학의 소괄호와 의미가 같다. 즉 먼저 연산하라는 뜻이다. 

728x90
반응형
posted by 조이키트 블로그