먼저 컴퓨터에 아두이노IDE 프로그램을 설치한다.
아래 영상에서 아두이노IDE 다운로드 및 설치방법을 볼수 있다.
아두이노 IDE 다운로드 및 설치
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nwnVxz9ZJLQ&t=8s
설치가 끝난 다음 아두이노 IDE프로그램을 샐행하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타난다.
그리고 아두이노를 컴퓨터 USB포트에 연결한다.
다음 메뉴바에서 툴(tools)/포트/COM3(Arduion uno)를 선택한다.
다른데서는 COM번호가 다를수 있음
이렇게 되면 아두이노와 컴퓨터간의 통신이 이루어진다.
준비품은 LED 한개와 300옴 저항이 필요하다.
위의 그림과 같이 LED의 "+"는 아두이노 핀모드의 13번에 연결하고 "-"는 300옴 저항을 연결하여 GND핀에 연결한다.
(저항은 +/-핀 아무쪽에다 연결해도 상관없음)
그리고 아두이노 IDE의 메뉴에서 파일/예제/Basics/Blink를 선택하고 아래와 같이 코딩한다.
코딩 부분에서 int LED = 13: 은 LED출력을 아두이노의 13번 핀으로 선언하는 것이고,
void setup문의 pinMode는 LED 출력 부분이고, void loop문의 digitalWrite(HIGH/LOW)는 HIGH일 때 LED가 켜지고, LOW일 때 LED가 꺼진다.
다음 delay(1000)는 LED가 켜지고 꺼지는 시간간격이다. 예를들어 1000이면 1초 간격으로 LED가 켜졌다 꺼졌다 하고 5000이면 5초마다 LED가 켜졌다 꺼진다.
코딩을 다하면 저장을 하고 업로드 시킨다.
출력 결과
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OErb-qabOsk&t=13s
그러면 위와 같이 LED가 1초, 3초 간격으로 깜빡이는 것을 볼 수 있다.
'아두이노 기초' 카테고리의 다른 글
TCS3200 RGB 컬러센서를 사용하여 3색 LED 제어하기 (0) | 2020.08.01 |
---|---|
아두이노에 LCD패널을 연결하여 초음파센서에서 측정된 거리를 현시하기 (0) | 2020.07.28 |
아두이노에 초음파센서를 사용하여 측정된 거리에 따라 LED색을 변하시키기 (0) | 2020.07.28 |
아두이노에 3색 LED를 사용하여 자동으로 색갈 변화시키기 (0) | 2020.07.28 |
1. 아두이노란 무엇인가? (0) | 2020.07.28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