블로그 이미지
조이키트 블로그
아두이노, 라즈베리파이, 반도체 센서/모듈 활용

calendar

1 2 3 4 5
6 7 8 9 10 11 12
13 14 15 16 17 18 19
20 21 22 23 24 25 26
27 28 29 30

Notice

250x250
2020. 7. 28. 10:33 아두이노 기초
728x90
반응형

먼저 컴퓨터에 아두이노IDE 프로그램을 설치한다.

아래 영상에서 아두이노IDE 다운로드 및 설치방법을 볼수 있다.

 

아두이노  IDE 다운로드 및 설치

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nwnVxz9ZJLQ&t=8s

설치가 끝난 다음 아두이노 IDE프로그램을 샐행하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타난다.

아두이노 IDE 새파일

그리고 아두이노를 컴퓨터 USB포트에 연결한다.

아두이노를 PC에 연결

다음 메뉴바에서 툴(tools)/포트/COM3(Arduion uno)를 선택한다.

다른데서는 COM번호가 다를수 있음

이렇게 되면 아두이노와 컴퓨터간의 통신이 이루어진다.

준비품은 LED 한개와 300옴 저항이 필요하다. 

 

위의 그림과 같이 LED의 "+"는 아두이노 핀모드의 13번에 연결하고 "-"는 300옴 저항을 연결하여 GND핀에 연결한다.

(저항은 +/-핀 아무쪽에다 연결해도 상관없음)

그리고 아두이노 IDE의 메뉴에서 파일/예제/Basics/Blink를 선택하고 아래와 같이 코딩한다.

 

코딩 부분에서 int LED = 13: 은 LED출력을 아두이노의 13번 핀으로 선언하는 것이고,

void setup문의 pinMode는 LED 출력 부분이고, void loop문의 digitalWrite(HIGH/LOW)는 HIGH일 때 LED가 켜지고, LOW일 때 LED가 꺼진다. 

다음 delay(1000)는 LED가 켜지고 꺼지는 시간간격이다. 예를들어 1000이면 1초 간격으로 LED가 켜졌다 꺼졌다 하고 5000이면 5초마다 LED가 켜졌다 꺼진다.

코딩을 다하면 저장을 하고 업로드 시킨다.

 

출력 결과

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OErb-qabOsk&t=13s

 

그러면 위와 같이 LED가 1초, 3초 간격으로 깜빡이는 것을 볼 수 있다.

 

728x90
반응형
posted by 조이키트 블로그