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023. 8. 3. 23:30
파이썬
728x90
반응형
시퀀스(튜플이나 문자열)의 길이를 먼저 안다면 파이썬의 다중 대입문을 사용하여 각 요소를 뽑아내는 것이 편할 것이다.
예를 들어 서술믄 x, y = (3, 4)를 실행하면 x는 3에 바인딩되고 y는 4에 바인딩 된다. 마찬가지로 a, b, c = 'xyz'를 실행하면 a는 'x'에, b는 'y'에, c는 'z'에 바인딩 된다. 이 기능은 고정된 길이의 시퀀스를 반환하는 함수들과 함께 사용하면 특히 더 편리할 때가 있다.
다음 함수를 살펴보면, 다중 대입문에서 minDivisor는 2, maxDivisor는 100이 바인딩될 것이다.
# 시퀀스와 다중 대입문
def findExtremeDivisors(n1, n2):
divisors = () # the empty tuple
minVal, maxVal = None, None
for i in range(2, min(n1, n2) + 1):
if n1%i == 0 and n2%i == 0:
if minVal == None or i < minVal:
minVal = i
if maxVal == None or i > maxVal:
maxVal = i
return (minVal, maxVal)
minDivisor, maxDivisor = findExtremeDivisors(100, 200)
print('최소 약수 : ', minDivisor)
print('최대 약수 : ', maxDivisor)
출력 결과
최소 약수 : 2
최대 약수 : 100
728x90
반응형
'파이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(파이썬) for문을 사용한 리스트와 가변성 (0) | 2023.08.04 |
---|---|
(파이썬) 리스트와 가변성 (0) | 2023.08.04 |
(파이썬) 튜플, 20과 100의 공통분모를 출력한 후 공통분모의 합 구하기 (0) | 2023.08.03 |
(파이썬) 파일을 생성한 다음 쓰기, 읽기, 덮어쓰기 (0) | 2023.08.02 |
(파이썬) 모듈 (0) | 2023.08.02 |